사업의 필요성
- 결핵발생율이 OECD국가 중 1위
- 의료기관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, 결핵은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하는 질병으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함
사업의 목적
- 목적 : 결핵 조기 퇴치
- 세부목표
‣ 환자관리율, 치료성공률 향상 및 중단율 감소
‣ 결핵에 대한 인식 향상
‣ 접촉자검진율 향상
사업의 내용 및 방법
- 사업 추진 내용
‣ 결핵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‣ 수약 불협조자에 대해 계속적인 내원독려 및 치료의 중요성을 재교육하여 중단율을 감소시킴
‣ 원내 결핵환자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‣ 접촉자 검진에 대한 필요성 교육 및 접촉자 검진 독려 -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
‣ 건강지침이 수첩, 건강달력을 이용한 결핵정보 및 국가결핵관리사업 정보제공 및 내원독려, 복약확인으로 환자관리 실시
‣ 원내 결핵환자 관리율, 중단율, 접촉자검진율, 치료성공률 등 추구관리 실적에 대한 자체 결과평가 및 모니터링 실시
‣ 접촉자 검진의 중요성 교육을 통한 접촉자 검진에 대한 동기부여
기대효과 및 활용전략
- 기대효과
‣ 결핵의 전파 방지 및 치료성공율 향상
‣ 결핵 및 결핵예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국민 인식 개선
‣ 국가 결핵관련 정보 및 교육자료로 활용
‣ 국가 결핵관리사업의 기초자료로 제공 - 사업의 활용⋅확산을 위한 향후 계획
‣ 보건소와 연계하여 중단환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중단율을 감소시킴
‣ 의료기관의 내부, 외부 연계시스템 확립